건설현장 상시위험성평가 : 안전보건공단 JSA기반 6가지

2025. 2. 21. 22:57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건설현장 위험성 평가: 6가지 필수 체크 포인트

JSA(작업안전분석) 기준으로 분류된 주요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하세요!

: 자료출처 레포트픽 블로그 글에서 참고 함

 


온라인 상담 => https://pf.kakao.com/_SHBxls?default_tab=hometab

자료에 대하 모든 상담은 아래 카카오 채널을 통하여 진행하여 드리겠습니다.

위험성평가 관련 카카오채널 상담하기


1. 기계(설비)적 요인

기계 및 설비와 관련된 사고는 협착, 충돌, 전복 등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세부 분류

  • 협착 위험: 회전 기계(톱날, 벨트 등)에 신체가 감기거나 끼이는 사고
  • 위험한 표면: 날카로운 금속·유리 등에 의한 절단·베임·긁힘
  • 낙하 및 전복 위험: 크레인, 중장비, 건축 자재의 낙하 및 붕괴 위험
  • 충돌 위험: 지게차, 크레인 등 이동식 장비와의 충돌 가능성
  • 추락 위험: 난간이 없는 고소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사고

2. 전기적 요인

전기 설비 사용 중 감전, 화재 등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 세부 분류

  • 감전 위험: 누전, 배선 접촉으로 인한 전기 사고
  • 아크 발생: 전기 용접 시 불꽃(아크)으로 인한 화상
  • 정전기 위험: 정전기로 인한 폭발 가능성

3. 화학(물질)적 요인

유해 화학물질, 가스, 먼지 등의 노출로 인한 위험을 포함합니다.

🔹 세부 분류

  • 가스 중독: 일산화탄소, 염소가스 등 유독가스 흡입
  • 증기 및 흄(미세입자): 용접 및 화학물질 사용 시 발생하는 유해물질 노출
  • 분진 위험: 콘크리트 절단, 목재 가공 시 발생하는 분진 흡입
  • 폭발 및 화재: 인화성 물질(휘발유, 용제 등)의 폭발 가능성

4. 생물학적 요인

작업장에서의 감염, 알레르기 반응, 동·식물과의 접촉 등이 포함됩니다.

🔹 세부 분류

  • 바이러스 감염 위험: 감염병 유행 시 작업장 내 전파 가능성
  • 알레르기 유발 요소: 곰팡이, 진드기 등으로 인한 건강 위험
  • 동·식물 위험: 벌, 쥐, 독성 식물 등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

5. 작업특성 요인

작업 방식 및 환경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 요소입니다.

🔹 세부 분류

  • 소음 및 진동: 지속적인 소음(85dB 이상)과 전동 공구 사용으로 인한 손·팔 진동 증후군
  • 근로자 실수(휴먼 에러): 조작 실수 및 부주의로 인한 사고
  • 질식 위험: 밀폐 공간 내 산소 부족으로 인한 질식 사고

6. 작업환경 요인

작업장의 환경적 특성이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합니다.

🔹 세부 분류

  • 기후 영향: 고온(제철소), 한랭(혹한 작업)으로 인한 건강 문제
  • 조명 부족: 어두운 작업 환경으로 인한 사고 가능성 증가
  • 공간 협소 및 이동통로 문제: 좁은 공간에서의 충돌 및 사고 위험

📌 건설공사 위험성 평가 엑셀 템플릿 서비스

건설 현장의 위험성 평가를 보다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JSA 기준의 위험성 평가 엑셀템플릿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 작업 단계별 분류 및 위험요인 분석: 산업안전보건공단의 KRA01~51 위험성 평가 기준 활용
  • 엑셀 템플릿 자동화: 건설업 전 공종에 대한 위험성 평가 자동화
  • 무료 샘플 제공: 총 51개 공종 중 1개 샘플 무료 제공

📌 위자료와 관련된 내용 바로가기

  • 무료 샘플 제공: 총 51개 공종 중 1개 샘플 무료 제공 

       : 무료 샘플 공정(안전가시설 공사) 

KRA48.안전가시설(템플릿작업완성본).xlsx
1.29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