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8. 22. 21:27ㆍ건설관련/건설기술
철골 보 설치와 공간 문제
건물 대수선시(리노베이션) 시, 슬래브 하부에 철골 보를 설치하면 층고가 낮아져 전기 배선과 설비 배관 등을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설비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면 건물의 기능성과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한된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얕은 보와 슬림 플로어 시스템
첫 번째로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은 얕은 보나 슬림 플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철골 보의 깊이를 줄여주며, 보를 슬래브 두께에 통합시킴으로써 하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줍니다. 슬림 플로어 시스템은 보와 슬래브를 일체화하여 설치 공간을 최적화하는데, 이를 통해 전기 배선이나 배관을 위한 추가 공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실용적인 설비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됩니다.
2. 철골 보에 구멍 뚫기: 구조적 무결성 유지

두 번째 방법으로는 철골 보에 직접 구멍을 뚫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보의 구조적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구멍을 뚫기 전에 반드시 구조 엔지니어와 상의하여 보의 안전성을 검토하고, 구멍의 위치와 크기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구멍은 보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이상적이며, 크기는 보 깊이의 1/4~1/3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구멍의 모서리는 둥글게 만들어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경우 보강 플레이트를 추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작업에 대한 커뮤니티(자료에 대한 궁금하거나 적용 질의 답변 운영)
1.크몽에서는 "문의하기"에서 직접 질의 하시면 더욱 빠른 답변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2.카카오 채널 운영 : 위 자료에 대하여 궁금하신점 체널에서 친구 추가하고 "질문" 해 주세요.
파파스위드
건설 및 집합건물의 위험성평가 적용 및 건물유지보수 관리에 대한정보를 제공합니다.
pf.kakao.com
3. 설비 경로 변경 및 통합 설계
마지막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은 설비 경로 변경 및 통합 설계입니다. 기존 경로를 변경하여 배관이나 전기 배선을 덜 혼잡한 지역, 예를 들어 방의 주변부나 벽 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입니다. 또한, 천장 내부에 설비를 매립하는 방법을 통해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을 통해 기존 철골 보 설치에 따른 공간 제약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결 론
위의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적용함으로써, 철골 보 하부에서의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비 설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건물의 기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것입니다.
시공사례
H빔 타공 시공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낮은 층고로 인해 전기 및 설비 배관 설치에 어려움이 발생한 상황에서, H빔에 구멍을 뚫어 공간을 확보한 사례입니다.
주요 내용:
구조 검토 및 보강: H빔에 구멍을 뚫기 전에 반드시 구조 검토를 실시하여 구조적 무결성을 확인한 후, 설계에 따라 보강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빔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필요한 설비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시공 배경: 해당 시공은 낮은 층고로 인해 전기 및 설비 시공에 불편을 겪는 현장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빔 타공을 선택한 사례로 설명됩니다. 이를 통해 배관이나 전기 배선 설치가 용이해졌습니다.
이 사례는 낮은 층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빔에 타공을 적용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만, 반드시 구조 검토와 보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